소소한 상점
"언론은 종교의 대변인이 아니다" 본문
"교황님도 결국 인간이다" — 언론이 '선종'을 쓰면 안 되는 이유
얼마 전 프란치스코 교황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국내 언론은 일제히 그 죽음을 '선종(善終)'이라고 표현했죠. 얼핏 들으면 경건하고 예의바른 단어 같지만, 잠깐만 생각해봅시다. 과연 이게 맞는 걸까요?
'선종'은 단순히 "편안히 숨을 거뒀다"는 뜻이 아닙니다. 가톨릭 교리에 따르면, '선종'은 임종 직전에 고해성사, 병자성사를 받고 큰 죄 없이 하느님 품에 안겼다는 아주 신앙적인 확신이 담긴 표현입니다. 쉽게 말해, 신앙적 검증을 통과한 '완벽한 죽음'이라는 거죠.
문제는, 세속 언론이 이런 종교 내부 용어를 아무 설명 없이 받아쓴다는 겁니다. '선종'이라는 단어를 쓰는 순간, 매체는 가톨릭 신앙의 해석을 사실처럼 포장해버리는 셈이죠. 언론이 특정 종교의 언어를 아무 비판 없이 채택하는 건, 중립성과 보편성을 스스로 내던지는 일입니다.
죽음은 죽음입니다. 교황이든, 평범한 사람이든, 모두 똑같이 인간으로 생을 마칩니다. 그 현실을 '선종' 같은 종교적 미사여구로 덮어버리는 건 진실의 은폐에 가깝습니다. 특별한 죽음? 성스러운 귀환? 그건 교회 안에서 할 이야기지, 공적인 뉴스 기사에서 할 말은 아닙니다.
언론이 교황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하고 싶었던 마음, 이해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공적인 언어까지 종교에 기대야 할까요? 세속 언론이라면, 죽음을 전할 때도 **'서거'**나 **'별세'**처럼 종교 색채 없는 표현을 써야 합니다. 신앙을 존중하는 것과, 신앙에 무릎 꿇는 건 전혀 다릅니다.
교황은 위대한 인물이었지만, 결국 한 인간으로서 생을 마쳤습니다. 언론은 그 사실을 담담하게 전하면 됩니다. 종교 권위에 기댈 필요도, 죽음을 미화할 이유도 없습니다.
언론은 진실을 전하는 곳입니다. 종교의 전령이 아닙니다. 이제는 '선종' 같은 단어 하나에도 스며든 권력과 신앙의 냄새를 냉정하게 구분해야 합니다. 죽음 앞에서는, 그 누구 앞에서도, 언론은 세속적 언어로만 말해야 합니다.
그것이 언론의 최소한의 양심이며, 독자에 대한 기본 예의입니다.